현악기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등을 제작할 때에 얇은 측면을 악기의 형태에 따라 여러 형대로 모양을 잡아가며 휜다.
이때 일일이 악기의 형태에 따라 모양을 만들어 가는 것이 매우 번잡하고 손이 많이 가며 만들 때마다 모양이 조금씩 차이가 난다.
이런한 단점을 없애기 위해 만든 것이 바로 몰드이다.

사진 1 외몰드

사진2 내몰드
몰드는 내몰드와 외몰드로 두 가지가 있는데, 두 가지는 각각 단점과 장점이 있다.
외몰드는 이러한 형태 사진 1과 같은 모양이고, 내몰드는 사진 2와 같은 모양이다
1. 외몰드는 현악기의 외관 형태에서 약 2.5mm 안쪽으로 그려 합판 또는 변형이 쉽지 않은 재질을 이용해 본을 뜬다
제작 과정은 2번(내몰드)와 순서가 다르고 대량생산에서 많이 사용하는 형태이다.
이는 측면을 불에 달궈 휨세가 용이 하도록 해서 외형에 맞추어 제작하며 측면이 완성된 다음 블럭을 맞줘가는 방식이다.
2. 내몰드는 악기 외형에서 안으로 3.7mm 들어가서 몰드를 만드는데 형태는 사진 1, 2가 차이가 많이 난다.
사진 2 내몰드는 블럭을 먼저 만들고 그 위에 측면을 만들어 접합한다.
순서와 크기가 각기 다르고 어느것이 맞다 틀리다 할수 없다.
1. 먼저 몰드를 만들때 얼마나 정교하게 제작하는지가 중요이다.
2. 측면을 휘어 접합할때 몰드에 1:1로 틈새없이 잘 휘어 잘 밀착하는지가 중요이다.
3. 대량 생산에서 많이 사용한다고 해서 틀리다고 하는 것은 고정관념이다.
현재 본고장에서는 1번과 2번 둘다 사용하는 공방들이 많이 있다.
4. 각기 장,단점이 있어 사용되는 장비들이 많이 들어가는 몰드가 있고 장비가 적게 들어가는 몰드가 있다.
내, 외몰드 어떤 것으로 제작하느냐가 문제가 아니고 둘다 사용하지만 얼마나 정교하게 제작하는지가 중요하다.
측면 제작이 틀어지면 악기의 모든 형태가 틀어지기 때문이다.
현악기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등을 제작할 때에 얇은 측면을 악기의 형태에 따라 여러 형대로 모양을 잡아가며 휜다.
이때 일일이 악기의 형태에 따라 모양을 만들어 가는 것이 매우 번잡하고 손이 많이 가며 만들 때마다 모양이 조금씩 차이가 난다.
이런한 단점을 없애기 위해 만든 것이 바로 몰드이다.
사진 1 외몰드
사진2 내몰드
몰드는 내몰드와 외몰드로 두 가지가 있는데, 두 가지는 각각 단점과 장점이 있다.
외몰드는 이러한 형태 사진 1과 같은 모양이고, 내몰드는 사진 2와 같은 모양이다
1. 외몰드는 현악기의 외관 형태에서 약 2.5mm 안쪽으로 그려 합판 또는 변형이 쉽지 않은 재질을 이용해 본을 뜬다
제작 과정은 2번(내몰드)와 순서가 다르고 대량생산에서 많이 사용하는 형태이다.
이는 측면을 불에 달궈 휨세가 용이 하도록 해서 외형에 맞추어 제작하며 측면이 완성된 다음 블럭을 맞줘가는 방식이다.
2. 내몰드는 악기 외형에서 안으로 3.7mm 들어가서 몰드를 만드는데 형태는 사진 1, 2가 차이가 많이 난다.
사진 2 내몰드는 블럭을 먼저 만들고 그 위에 측면을 만들어 접합한다.
순서와 크기가 각기 다르고 어느것이 맞다 틀리다 할수 없다.
1. 먼저 몰드를 만들때 얼마나 정교하게 제작하는지가 중요이다.
2. 측면을 휘어 접합할때 몰드에 1:1로 틈새없이 잘 휘어 잘 밀착하는지가 중요이다.
3. 대량 생산에서 많이 사용한다고 해서 틀리다고 하는 것은 고정관념이다.
현재 본고장에서는 1번과 2번 둘다 사용하는 공방들이 많이 있다.
4. 각기 장,단점이 있어 사용되는 장비들이 많이 들어가는 몰드가 있고 장비가 적게 들어가는 몰드가 있다.
내, 외몰드 어떤 것으로 제작하느냐가 문제가 아니고 둘다 사용하지만 얼마나 정교하게 제작하는지가 중요하다.
측면 제작이 틀어지면 악기의 모든 형태가 틀어지기 때문이다.